편두통 증상과 예방 및 치료
1.편두통의 정의
편두통이란 뇌와 머리 뇌신경 및 뇌혈관의 기능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두통의 일종이다.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 불필요한 두통과 위장관 증상을 동반한 경우로 단순히 머리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가르키는 말이 아니다. 중등도 이상의 박동성 통증이 나타나고 구역,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을 동반하고 위장관 증상을 동반한다. 편두통은 크게 2가지 아형이 있는데 무조짐편두통과 조짐편두통이다. 무조짐편두통은 특정 양상을 보이는 두통과 동반되는 증상을 특징으로하며, 조짐편두통은 기본적으로 두통이 선행하고 두통과 함께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무조짐 편두통 | 특정 양상을 보이는 두통과 동반되는 증상으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
조짐 편두통 | 두통이 선행하고 두통과 함께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2.편두통의 원인
편두통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외부자극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특정 요인들에 의하여 통증을 인지하는 신경세포가 과활성화되어, 평소에는 통증으로 느끼지 않던 혈관 박동 등을 통증으로 느끼게 된다는 이론이 가장 대표적인 가설이다. 또한 삼차신경에서 주변의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신경 섬유가 통증에 더욱 민감하게 되고 혈관을 확장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편두통이 가족력을 보이는 경향으로 유전적인 요인도 관련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3.편두통의 증상
전구증상 (1~2일) | 조짐 (30분 이상) | 두통 (72시간 이상) | 해결 (24시간 이상) |
신경 예민 과민반응 피로 식욕의 증가 또는 억제 |
시각이상 광과민성 저린감각 무감각 언어장애 |
심한 박동성 통증 4~72시간 두통 지속 |
피로 무력감 근육 약화 집중력 저하 |
편두통은 보통 전구증상-조짐-두통 및 동반증상-해소기-후유 증상로 단계별로 진행되는데, 조짐이 동반되지 않는 무조짐 편두통은 편두통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무조짐 편두통 | (1)전구증상 (premonitory symptom) -두통 시작 2-48시간 전에 나타나는 증상, 두통이 발생하기 전과 중에 나타나는 조짐과 구별된다. -피로감, 졸림, 무기력, 식욕부진, 집중력 저하, 목의 뻣뻣함, 하품, 읽기장애, 언어장애, 감정의 예민 (2)유발요인 - 편두통 발생 전 48시간 이내에 선행한다. - 편두통 환자 2/3이상이 하나 이상의 유발요인을 가진다. - 조짐편두통보다 무조짐편두통 환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한다. - 스트레스가 가장 흔한 유발 요인, 신경계 반응이 예민한 사람에게서 잘 발생 - 여성의 흔한 유발 요인 : 에스트로겐, 월경 - 음식: 술 (적포도주), 초콜릿, 치즈, 감귤, 튀긴 지방질 음식 등 - 환경: 높은 고도, 날씨 변화, 깜빡이는 빛, 밝은 빛 - 불규칙한 생활 습관: 결식, 수면부족, 수면과다, 격렬한 운동, 과로 (3)두통발작의 양상 및 동반증상 - 약 60%의 환자가 편측성 두통을 보이고 여성에게 더 흔하다. - 두통발작은 이마관자부위와 눈 부위에서 주로 시작하여 지속시간은 40-24시간 (환자의 60%) - 약한 강도로 시작하여 30-2시간에 걸쳐 점점 심해진 후 최고조에 이른다. - 약 50% 편두통발작은 박동성이고 나머지는 조이는 것 같거나 터질 것 같은 통증 - 일상적인 활동에 의해 두통이 악화되는 증상은 진단적 가치가 높은 중요한 증상 - 동반증상: 구토(50%), 구역(90%), 식욕감퇴, 설사, 빛공포증, 소리공포증 (4)월경편두통 (menstrual migraine) - 월경은 여성의 편두통의 매우 흔하고 중요한 유발요인 - 월경편두통: 무조짐편두통 환자 중 월경 중(월경 2일전-월경 3일째까지)에만 발생 - 월경관련편두통(menstrually-related migraine): 월경기관 외, 편두통 발작이 독자적으로 발생 |
조짐 편두통 | (1)조짐 (전조 aura) - 편두통dml 조짐은 다양한 양상의 신경학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조짐이 시각증상/감각증상/언어증상인 경우 전형적인 ‘조짐 (전조 aura)이라 한다. - 조짐은 보통 수십 분 지속되며 조짐 중 또는 한 시간 내에 두통이 따르는 경우가 일반적임 - 조짐편두통 환자는 흔히 무조짐 편두통 발작도 나타sksek. (2)시각조짐 - 가장 흔한 조짐으로 조짐편두통 환자의 90%에서 발생한다. - 성곽분광 형태의 선이 고정시야 주변부에서 좌우로 번져나간다. -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모가 난 섬광 모서리를 가지는 모양 - 지나간 자리에 다양한 크기의 암점을 남기는 형태 (3)감각증상 - 따끔거리는 증상이 한 부위에서 시작하여 점차 움직임 - 한쪽 몸통, 얼굴, 혀의 일부/넓은 부위에 침범한다. - 지나간 자리는 무감각해지기도 함 - 편두통은 45세 미만의 젊은 여성에게 뇌경색의 위험인자이고 조짐 편두통을 갖는 경우 위험성 높아진다. |
4.편두통의 치료
1) 비약물 요법
(1) 면담/두통일기를 통한 두통 유발요인을 파악하여 제거 및 회피한다.
- 여성의 흔한 유발 요인 : 에스트로겐, 월경
- 음식: 술 (적포도주), 초콜릿, 치즈, 감귤, 튀긴 지방질 음식 등
- 환경: 높은 고도, 날씨 변화, 깜빡이는 빛, 밝은 빛
- 불규칙한 생활 습관: 스트레스, 결식, 수면부족, 수면과다, 격렬한 운동, 과로
(2) 스트레스 완화, 운동요법 등의 치료적 생활변화 시도한다.
2) 약물 요법
약물요법은 편두통 유형과 증상이 심한 정도, 구역/구토 등 동반 증상 유무, 과거치료제의 효과/부작용, 금기사항, 동반질환 유무를 고려해야한다. 편두통이 발생하면 약물을 복용하여 최대한 빨리 두통과 동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편두통 발작 시 급성기 약물을 빨리 투여할수록 효과가 좋다. 평소 카페인 함유 약물, 음료 섭취시에 카페인 중닫 시 반동두통 유발되므로 주의한다.
· 경증/중증도 편두통 발작 시 → Aspirin, NSAID (ibuprofen), Acetaminophen, caffeine, isometheptene 등
· 복합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편두통 발작 시 → Triptan, ergotamine제 등 편두통 특이성 약제 투약
· 구역/구토가 심할 경우 → 주사제로 된 진통제 사용 고려, 항구토제 투약
5.편두통의 예방치료
1) 목적
편두통의 예방치료는 편두통의 발작기간/횟수를 감소, 통증 강도 약화, 급성기 약물 반응 개선하여 편두통에 의한 장애를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치료법이다. 예방효과는 약 3-4주 정도 지나야 나타나고, 충분한 용량으로 안정된 단계에 이르면 6개월 정도 지속하다가 서서히 용량을 줄이면서 약물 중단을 고려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 예방치료를 고려한다.
(1) 편두통 발작이 잦아 급성기 편두통 치료에도 일상 생활 장애가 현저한 경우
(한 달에 2회 이상의 발작으로 인해 3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 초래 시)
(2) 급성기 편두통 약물을 사용할 수 없거나, 무반응 및 부작용이 문제가 될 경우
(3) 약물 과용인 경우
(4) 1주에 2회 이상 편두통 등 횟수가 잦은 경우
(5) 환자가 원할 경우
2) 약물 종류 (성분명)
항경련제 | 발프로에이트 (valporate) 토피라메이트 (topiramate) 가바페티닌 (gabapentin) |
베타 차단제 B-bloker |
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스테놀롤 (stenolol) 티모놀롤 (timolol) 나돌롤 (nadolol) 메토프로놀롤 (metorprolol) *말초혈관 질환, 천식, 당뇨환자 금기 약물 |
칼슘 통로 차단제 Cacium chanel blocker |
플루나리진 (flunarizine) 니모디핀 (nimodipine) 베라파밀 (verapamil) |
항우울제 | 삼환계 항우울제 TCA - 아미트립틸린 (amitriptyline), 노르트립틸린 (Nortriptyline) 이외 SSRI,SNRI |